백조의 호수(Swan Lake)는 단순한 발레 공연 그 이상이다. 차이콥스키의 음악과 고전 발레가 만난 이 작품은, 마법에 걸린 공주와 왕자의 비극적 사랑 이야기를 통해 수많은 변주와 해석을 낳아왔다.
이 글에서는 백조의 호수의 전체 줄거리를 4막 구성에 따라 문학적으로 서술하고, 주요 등장인물들의 역할과 상징을 짚어본다. 또한, 세계 각국의 발레단이 선택해온 다양한 결말 버전을 정리해 한눈에 비교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백조의 호수 등장인물
지그프리트 왕자
- 이야기의 주인공. 왕실의 전통에 따라 배우자를 찾아야 하는 운명의 순간에 오데트를 만나게 된다. 이상주의적이고 감정에 충실한 인물.
오데트 (Odette)
- 낮에는 백조, 밤에는 인간이 되는 저주에 걸린 공주. 순수하고 고귀한 영혼의 소유자로, 지그프리트와의 사랑을 통해 저주를 풀길 소망한다. 백조 무리의 여왕.
로트바르트 (Rothbart)
- 악의 마법사로, 오데트를 비롯한 많은 소녀들을 백조로 바꾸는 저주를 건 장본인. 계략과 마법으로 주인공들의 사랑을 방해한다.
오딜 (Odile)
- 로트바르트의 딸 혹은 그의 마법으로 만들어진 환영. 오데트의 모습을 흉내 내어 지그프리트를 속이고 그의 맹세를 깨뜨린다. ‘흑조(Black Swan)’로도 불리며, 유혹과 속임수의 상징이다.
왕비
- 지그프리트의 어머니로, 아들의 결혼을 주도하려는 현실적 인물. 극 중 큰 역할은 없으나 왕자의 고민을 유발하는 상징적 존재.
《백조의 호수》의 줄거리는 총 4막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간략한 내용은 아래 시놉시스에서 확인할 수 있다.
백조의 호수 시놉시스
백조의 호수 시놉시스

Act I – 성년의 서막
지그프리트 왕자는 성년이 되어 축하를 받는다. 왕비는 그에게 다음 날 열릴 무도회에서 신부를 정하라고 명령한다. 그날 밤, 백조 떼를 따라 사냥을 나선 왕자는 신비로운 호숫가로 향한다.
Act II – 저주받은 백조들과의 만남
호수에서 지그프리트는 오데트를 만나게 된다. 그녀는 로트바르트의 마법에 의해 낮에는 백조로 살아가는 운명에 놓여 있다. 왕자는 그녀를 사랑하고, 저주를 깨기 위한 영원한 사랑의 맹세를 약속한다. 하지만 로트바르트가 그들을 방해하고, 오데트는 다시 백조로 변해 사라진다.
Act III – 무도회와 배신의 맹세
왕궁에서 신부를 고르는 무도회가 열린다. 로트바르트는 딸 오딜에게 오데트의 모습을 흉내 내게 하고, 지그프리트는 그녀를 오데트로 착각해 사랑을 맹세해버린다. 그 순간 로트바르트는 정체를 밝히고, 지그프리트는 맹세를 깨뜨린 자신을 자책하며 오데트를 찾아 호숫가로 향한다.
Act IV – 죽음과 구원의 순간
오데트는 절망 속에서 다시 백조 무리 속으로 돌아가고, 지그프리트는 그녀의 사랑을 되찾기 위해 용서를 구한다. 결국 두 사람은 로트바르트의 마법에서 벗어나기 위해 호수로 몸을 던지며, 비극 속에서 영원한 사랑을 선택한다.
이 순간, 그들의 순수한 사랑의 힘으로 마법은 깨지고, 백조들은 자유로워진다. 두 연인은 하늘로 승화하며 영원한 세계로 향한다.
백조의 호수 줄거리

호수는 흔들림 없이 모든 것을 비춘다.
진실도, 기만도.
빛이 닿는 모든 것은 반사되지만, 어둠은 그 물결 속에 감춰진다.
이 이야기에서 진실은 사랑이고, 기만은 운명이었다.
그리고 그 중간 어딘가에, 지그프리트와 오데트가 있었다.
Act I – 왕자의 탄생일과 운명의 서막
왕국의 왕자는 열아홉이 되던 해, 어른이 되었다.
연회는 화려했고, 웃음은 넘쳐났다.
사람들은 그가 어떤 여인을 선택할지 흥미로워했지만,
정작 지그프리트는 그 선택이 단지 정치적 절차 이상이 아니라고 생각했다.
그날 밤, 그는 활을 들고 숲으로 향했다.
무언가로부터 도망치듯.
해질녘 호수 근처에서 하얀 백조 떼가 떠올랐다.
그리고 하나—유독 천천히 날던 백조가 있었다.
그것이 신호였는지, 아니면 단순한 우연이었는지 그는 알 수 없었다.
다만 그 백조를 따라가야만 한다는 본능은 분명했다.
Act II – 호숫가의 비밀
안개 낀 호숫가에서 그는 한 여인을 보았다.
백조는 사라졌고, 대신 물 위에는
눈을 마주칠 용기조차 꺼려질 만큼 고요한 얼굴이 있었다.
“오데트입니다.”
그녀는 자신을 그렇게 소개했다.
그리고—
“전, 저주에 걸렸어요.”
그녀는 낮에는 백조로, 밤에만 인간이 되는 운명에 처해 있었다.
사람이 만든 저주였다.
이성 없는 증오, 권력에 집착한 남자, 이름은 로트바르트.
그녀의 말에 거짓은 없었다.
지그프리트는 이해보다도 먼저, 확신했다.
그리고 말한다.
“당신을 구하겠소. 내 사랑을 맹세하겠소.”
그 약속이, 얼마나 불완전한 구조물 위에 세워졌는지를
그는 아직 알지 못했다.
Act III – 거짓의 무도회
무도회는 그의 의지를 확인하기 위한 공식적 절차였다.
신부를 선택하라는 어머니의 요구는
그의 사랑이 어떤 얼굴을 가졌는지조차 모르는 사람들 앞에서는
불합리한 소음처럼 들렸다.
그러나 로트바르트는 그 틈을 정확히 노렸다.
오데트와 닮은 얼굴.
그러나 다르다.
그 눈동자엔 공포가 없었고, 표정엔 슬픔이 없었다.
오딜은 가면처럼, 완벽하게 오데트의 형상을 흉내 냈다.
지그프리트는 흔들렸고, 맹세했다.
그 맹세가 오데트가 아닌 타인에게로 향한 순간,
약속은 무효가 되었다.
그는 배신자가 되었다.
자신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Act IV – 죽음으로 이룬 구원
오데트는 기다리고 있었다.
그는 미안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감정만으로는 되돌릴 수 없는 선택이 있었다.
저주는 이미 굳어졌고,
그녀를 되돌릴 방법은 남아 있지 않았다.
“사랑이 있었다는 건 사실이야.”
그의 말은 진심이었지만,
진심이 곧 책임이 되는 건 아니었다.
그녀는 받아들였다.
사랑이 변형된 책임이 될 수 있다면,
그 책임의 끝에 죽음이 있다고 해도 그것이 유일한 방법이었다면,
그 또한 감내할 수 있었다.
그들은 손을 맞잡고, 호수로 들어갔다.
자신들이 시작한 이야기의 끝을,
자신들의 의지로 마감하기 위해서.
에필로그
로트바르트는 소멸했다.
그의 마법도 함께.
백조들은 자유를 얻었다.
하지만 오데트와 지그프리트는 남지 않았다.
물은 모든 것을 품는다.
죄와 용서, 기만과 진심, 생과 죽음.
사람들은 그들의 비극을 이야기로 기억했고,
그 이야기 속에서는
두 사람이 마지막으로 함께 떠오른 장면이 있었다.
달빛 속, 두 마리의 백조.
그것이 환상이었는지,
기억 속의 잔상이었는지,
이제는 아무도 묻지 않는다.
어차피, 그 결말은 우리에게 무엇보다 설득력이 있었다.
사랑은 완성되지 않았고,
그래서 오히려 완전해졌다.
백조의 호수, 다양한 결말 버전의 해석

《백조의 호수》는 발레 역사상 가장 다양한 결말을 가진 작품 중 하나다. 다음은 대표적인 결말 버전들이다.
1. 비극적 결말 (1895년 프티파-이바노프-드리고 리바이벌)
- 가장 널리 알려진 전통 결말.
- 지그프리트는 오데트를 따라 호수에 몸을 던지고, 두 사람의 죽음으로 로트바르트의 마법이 깨진다.
- 백조들은 해방되고, 두 연인은 하늘로 날아오르며 영원의 세계로 떠난다.
- 감정적 깊이와 음악적 장엄미로 인해 클래식 발레의 대표 결말로 정착됨.
2. 해피엔딩 버전 (1877년 초연 / 일부 동화 공연)
- 지그프리트가 로트바르트를 물리치고, 오데트는 인간으로 돌아온다.
- 아이들을 위한 공연이나 아동용 애니메이션에서 주로 채택됨.
- 대표 예: 1995년 애니메이션 영화 《백조공주》, 일부 러시아 및 중국 버전.
3. 극단적 비극 버전
- 지그프리트가 로트바르트에게 패하거나, 오데트만 죽고 왕자 혼자 남는 등 절망감이 더 강조됨.
- 대표 예: 1986년 누레예프 버전, 2001년 볼쇼이 발레 버전, 2015년 덴마크 왕립 발레단 버전 등.
- 로트바르트가 최종 승리를 거두는 듯한 암시도 있음.
4. 모호한 상징 결말
- 두 연인의 죽음을 직접적으로 보여주기보다는, 백조 한 쌍이 달빛 속으로 날아가는 연출로 마무리.
- 대표 예: 2009년 샌프란시스코 발레 버전, 2010년 캐나다 국립발레단 버전.
- 죽음인지 해방인지 해석은 관객에게 맡기는 방식.
정리
《백조의 호수》는 단순히 선과 악, 저주와 구원의 이야기를 넘어, 사랑과 정체성, 자유에 대한 상징적인 이야기다. 오데트와 오딜이라는 이중성, 로트바르트라는 억압, 그리고 지그프리트의 선택이 만들어내는 비극은 수많은 해석과 연출을 낳았다.
결말이 어떻든, 이 작품은 매 공연마다 다시 태어나며 새로운 감정을 부여받는 고전 중의 고전이다.
프로메테우스 신화
그리스 로마 신화 시작과 끝
오이디푸스 왕: 줄거리 해석
묵시록의 4기사: 상징 해석
아브라함 이삭: 창세기 17장 해석
아브라함은 왜 이삭을 제물로?